본문 바로가기

Algorithm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 - 블록 이동하기(Python)

코딩테스트 연습 - 블록 이동하기 [2020 KAKAO BLIND RECRUITMENT]

 

코딩테스트 연습 - 블록 이동하기

[[0, 0, 0, 1, 1],[0, 0, 0, 1, 0],[0, 1, 0, 1, 1],[1, 1, 0, 0, 1],[0, 0, 0, 0, 0]] 7

programmers.co.kr

풀이

두 개의 좌표를 하나처럼 이동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 같으면서도 쉬울 수도 있는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먼저 탐색방법으로는 BFS를 사용하였는데 각 지점에서 이동 가능한 경우가 많아 DFS보다 효율적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문제는 회전을 처리하는 방법이겠죠. 사실 천천히 생각해보면 BFS를 선택한 순간부터 이미 정답을 알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BFS는 단계별로 진행되니 앞으로 이동할 좌표 목록(queue)에 평행이동에 의한 좌표와 회전에 대한 경우를 같이 넣어주면 되니까요. (물론 저는 BFS를 생각하고 나서도 시간이 조금 걸렸던 것 같습니다..ㅎㅎ)

그리고 방문 기록을 남겨야 하는데 저는 검색의 시간복잡도가 O(1)인 set을 사용해서 방문기록을 저장했습니다.

 

Cod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coord_check(coord, board):
    blen = len(board) - 1
    if 0 <= coord[0] <= blen and 0 <= coord[1] <= blen and board[coord[0]][coord[1]] == 0:
        return True
    return False

def solution(board):
    answer = 0
    blen = len(board) - 1
    queue = deque([((0, 0), (0, 1), 0)])
    visit = set()
    while queue:
        wing1, wing2, count = queue.popleft()
        if wing1 == (blen, blen) or wing2 == (blen, blen):  # 종료 조건
            answer = count
            break
        if (wing1, wing2) in visit:     # 방문했었다면 continue
            continue
        visit.add((wing1, wing2))

        for x, y in [(0, 1), (0, -1), (-1, 0), (1, 0)]:     # 평행이동
            coord1 = (wing1[0] + x, wing1[1] + y)
            coord2 = (wing2[0] + x, wing2[1] + y)
            if coord_check(coord1, board) and coord_check(coord2, board):
                queue.append((coord1, coord2, count+1))

        for d in [-1, 1]:                                   # 회전
            if wing1[0]==wing2[0]:      # 가로에서 회전
                if coord_check((wing1[0]+d, wing1[1]), board) and coord_check((wing2[0]+d, wing2[1]), board):
                    queue.append((wing1, (wing1[0]+d, wing1[1]), count+1))
                    queue.append((wing2, (wing2[0]+d, wing2[1]), count+1))
            else:                       # 세로에서 회전
                if coord_check((wing1[0], wing1[1]+d), board) and coord_check((wing2[0], wing2[1]+d), board):
                    queue.append((wing1, (wing1[0], wing1[1]+d), count+1))
                    queue.append((wing2, (wing2[0], wing2[1]+d), count+1))

    return answer

 

 

문제 설명

로봇개발자 "무지"는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카카오배 로봇경진대회"에 출품할 로봇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준비 중인 로봇은 2 x 1 크기의 로봇으로 "무지"는 "0" "1"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지도에서 2 x 1 크기인 로봇을 움직여 (N, N) 위치까지 이동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을 하려고 합니다. 로봇이 이동하는 지도는 가장 왼쪽, 상단의 좌표를 (1, 1)로 하며 지도 내에 표시된 숫자 "0"은 빈칸을 "1"은 벽을 나타냅니다. 로봇은 벽이 있는 칸 또는 지도 밖으로는 이동할 수 없습니다. 로봇은 처음에 아래 그림과 같이 좌표 (1, 1) 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놓여있는 상태로 시작하며, 앞뒤 구분없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로봇이 움직일 때는 현재 놓여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한다면 (1, 2), (1, 3) 두 칸을 차지하게 되며, 아래로 이동한다면 (2, 1), (2, 2) 두 칸을 차지하게 됩니다. 로봇이 차지하는 두 칸 중 어느 한 칸이라도 (N, N) 위치에 도착하면 됩니다.

로봇은 다음과 같이 조건에 따라 회전이 가능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로봇은 90도씩 회전할 수 있습니다. 단, 로봇이 차지하는 두 칸 중, 어느 칸이든 축이 될 수 있지만, 회전하는 방향(축이 되는 칸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칸)에는 벽이 없어야 합니다. 로봇이 한 칸 이동하거나 90도 회전하는 데는 걸리는 시간은 정확히 1초 입니다.

"0" "1"로 이루어진 지도인 board가 주어질 때, 로봇이 (N, N)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board의 한 변의 길이는 5 이상 100 이하입니다.
  • board의 원소는 0 또는 1입니다.
  • 로봇이 처음에 놓여 있는 칸 (1, 1), (1, 2)는 항상 0으로 주어집니다.
  • 로봇이 항상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board result
[[0, 0, 0, 1, 1],[0, 0, 0, 1, 0],[0, 1, 0, 1, 1],[1, 1, 0, 0, 1],[0, 0, 0, 0, 0]] 7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
로봇이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후, (1, 3) 칸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합니다. 다시, 아래쪽으로 3칸 이동하면 로봇은 (4, 3), (5, 3) 두 칸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제 (5, 3)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후,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하면 (N, N)에 도착합니다. 따라서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최소 7초가 걸립니다.